본문 바로가기

천장 누수 탐지 수리

서초 천장 시스템 에어컨 누수로 도배가 내려앉은 현장

728x90

안녕하세요. CNA 청년 에어컨입니다.

오늘은 서초에 천장 시스템 에어컨 누수로 천장 도배가 내려앉은 곳이 있다고 해서 수리하기 위해 방문했습니다.

 

 

보통 천장 시스템 에어컨 누수가 발생했을 경우 유선으로 상황을 전해 듣고,

문자나 카톡으로 사진과 영상을 주고받으며 수리 비용을 안내드리고, 방문 일정을 정합니다.

 

천장 속은 석고와 도배로 마감해서 겉으로만 봐서 매립된 천장 속까지 알 수 없습니다. 

그래서 시스템 에어컨 누수가 발생했을 경우 원인 파악 과정이 까다롭기 때문에 수리 비용이 많이 나옵니다.

 

 

이번에 방문한 현장은 서초 래미안힐즈 아파트입니다.

궁금해서 아파트 가격을 찾아봤는데 가격이 장난 아니네요;;

 

 

고객님 집에 도착 후, 수리에 필요한 공구와 자재들을 바닥에 정리하고 누수 원인을 찾기 시작했습니다.

 

시스템 에어컨을 사용하는데 천장에서 물이 떨어질 경우 원인은 다양합니다.

 

  1. 내장 배수펌프가 고장 난 경우
  2. 연결된 물호스가 벌어진 경우
  3. 물배관 어디선가 크랙이 발생한 경우
  4. 물배관이 막혀서 역류가 발생한 경우
  5. 물배관 구배(경사)가 맞지 않아 물이 역으로 흘러 나갈 경우

이외에도 이유는 다양합니다.

 

 

이번에 방문한 현장은 작년 여름이 끝나갈 때쯤 에어컨을 켜면 사진에 보이는 천장에서 물이 떨어졌다고 하셨습니다.

 

 

물이 떨어졌다고 무작정 물이 떨어지는 천장 쪽을 개방하면 안 됩니다.

시스템 에어컨 물배관이 전체적으로 어떻게 설치되어 있고, 기울기가 어떤지 내부는 어떤지를 확인해 가며 정확한 누수 원인을 찾은 뒤에 천장 개방을 해야 합니다.

 

 

 

고객님 집 천장을 마구잡이로 뜯을 수 없으니, 천장 내부를 볼 수 있는 틈새들을 찾아 구석구석 살펴봤습니다.

그렇게 작은 틈새로 뭘 볼 수 있죠?라고 궁금하신 분이 계실 수 있으니 설명을 드리자면, 작은 틈이지만 여러 기술과 장비들을 이용해 아파트의 시스템 에어컨 시공 방법을 보고 물배관의 기울기나 기타 문제가 될 부분들을 볼 수 있습니다.

 

 

천장 누수 검사를 진행하던 중 새로운 누수 흔적을 발견했습니다.

오른쪽 사진을 자세히 보시면 배관 밑에 나무가 젖어있는 걸 볼 수 있습니다.

만약 천장 내부를 검사하지 않고, 천장이 젖은 곳만 개방해서 살폈다면 또 다른 누수 흔적을 발견할 수 없었을 테고, 수리를 하더라도 다른 부위에서 누수가 또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저 부분이 원인이었나 하고 더 탐색을 하던 도중 놀라운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천장이 젖어 도배가 내려앉은 곳은 에어컨 물배관이 지나가지 않는 곳이었습니다.

에어컨만 작동하면 물이 떨어진다고 하셔서 당연히 도배가 내려앉은 곳에도 물배관이 지나갈 거라 생각했는데, 탐색하다 보니 물배관이 절대 지나갈 수 없는 구조여서 고객님께 설명을 드린 뒤, 천장을 개방했습니다.

 

 

천장은 깔끔하게 40*40으로 잘라주었습니다.

 

 

이제 천장을 개방했으니 더 정확한 원인을 찾을 수 있습니다. 

사진 속 제가 들고 있는 기계는 열화상 카메라입니다.

위층에서 물이 떨어지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에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해 온도가 낮은 물이 어디에서 떨어지는지 확인했습니다.

 

 

헉... 설마 했는데 위층 누수였습니다...

 

 

고객님께 육안으로 확인시켜 드리고, 위층에 설명을 드리러 방문했으나 아무도 계시지 않았습니다 ㅠ.ㅠ

 

 

결국 당장 저희가 할 수 있는 게 없어서 고객님께 나중에 위층에 올라가게 되면 사진을 찍어 달라고 부탁드렸습니다.

개방했던 천장은 점검구로 깔끔히 마감한 뒤 퇴장했습니다!

오늘 포스팅은 여기서 마무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728x90